美 정부, 대마 성분 주입 음료 규제 강화… THC 기준 대폭 상향
미국 음료 시장이 정부의 대마 성분 주입 음료 규제 강화로 큰 변화를 맞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Donald Trump)은 최근 대마(칸나비스·Cannabis) 성분이 포함된 음료 제조업체를 직접 겨냥한 규제 조항이 담긴 법안에 서명했으며, 이번 조치로 알코올 산업의 빠르게 성장하던 경쟁 카테고리가 사실상 제동이 걸리게 됐다.
주류전문매체 더드링크비즈니스에 따르면 이 법안은 연방정부 예산 집행을 둘러싼 공화당과 민주당의 장기 교착 상태가 해소되는 과정에서 마련된 여야 합의안의 일부로 포함됐으며, 7주간 중단되었던 연방 직원 급여 및 주요 복지 프로그램의 정상화를 가능하게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법안에 서명하면서 일부 주에서 판매 중이던 향정 성분 함유 음료, 즉 THC(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Tetrahydrocannabinol) 주입 음료의 확산을 막는 조항이 즉시 발효됐다. 이러한 음료들은 기존 주류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되며 알코올 시장의 잠재적 경쟁 제품으로 부상해 왔다. 해당 조항은 미치 매코널(Mitch McConnell) 켄터키주 상원의원이 제안한 것으로, 연방법상 합법인 ‘헴프(hemp)’라는 명칭을 악용해 사실상 향정 수준의 제품이 유통되는 법적 허점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이다. 매코널 의원은 2018년 헴프 합법화를 주도하며 농가 보호를 의도했으나, 이후 어린이들이 섭취할 수 있는 형태의 중독성 제품(예: 대마 젤리·edible gummies)이 늘어나자 우려를 표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새롭게 강화된 연방 규정에 따라, THC 함량이 0.3%를 초과하는 헴프 유래 카나비노이드 제품은 더 이상 판매할 수 없게 되며, 용기당 THC 0.4mg 이상을 포함한 헴프 기반 최종 제품 역시 금지된다. 내년부터는 대부분 최소 1mg의 THC를 함유하는 저용량(“low-dose”) THC 음료도 판매가 중단될 전망이다.
이 같은 규제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던 대마 음료 시장에 큰 타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미네소타(Minnesota)와 테네시(Tennessee) 등 일부 주에서는 소위 ‘헴프 음료’ 판매가 허용되며 시장이 급확대 중이었고,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는 해당 시장이 2028년 4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해 왔다. 캐노피 그로스(Canopy Growth)에 지분을 보유한 컨스텔레이션 브랜즈(Constellation Brands)는 이 시장에 관심을 키워왔으며, 로이터(Reuters)에 따르면 페르노리카(Pernod Ricard) 역시 올해 초 경쟁 업체 지분 인수를 검토하는 초기 논의를 진행했지만 성사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새 법안 시행 후 업계는 규제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THC 주입 음료 브랜드 ‘캔(Cann)’의 공동 설립자 제이크 불록(Jake Bullock)은 성명을 통해 제품의 합법적 판매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히며, 규제 변화 속 업계의 향후 움직임이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