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홍로(조선시대 명주) <사진 : 소믈리에타임즈 DB>

예부터 우리 민족은 음력 정월 대보름날 이른 아침에 술을 한잔씩 마시는 풍속이 있다. 이 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진다는 뜻에서 ‘귀밝이술’로 불렀다.

우리 조상들은 맑은 술이라야 귀가 더 밝아진다고 믿었다. 그래서 귀밝이술은 청주로 된 시양주(時釀酒, 정해진 날에 빚는 술)인데, 데우지 않고 차게 마셨다. 이 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총명해지며, 일 년 동안 좋은 소식만을 듣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귀밝이술은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온 가족이 마셨다. 일반적으로 부녀자는 술을 마시지 않았으나, 귀밝이술은 부녀자도 마셨으며 허물이 되지 않았다. 다만 어린이는 술잔을 입에만 대게 한 뒤 술은 굴뚝에 부었다. 부스럼이 생기지 말고 연기와 같이 날아가 버리라는 뜻에서였다.

‘귀밝이술’의 명칭에 관해서 여러 가지 유래가 있는데, 지방에 따라서 차이를 보인다. 술을 마시면 귀밑이 빨갛게 되기 때문에 ‘귀가 붉어지는 술’이란 말에서 ‘귀밝이술’이 비롯되었다는 지역도 있다.

전남지방에서는 귀밝이술을 ‘귀배기’ 또는 ‘기볼기술’이라고 했고, “정월대보름에 ‘용수술’을 마신다”고도 했다. 귀밝이술은 정월 초하루에 쓰고 남은 청주를 보관해 두었다가 마시기도 했는데, 용수술은 이미 빚어 두었던 술을 용수질 해 청주만 떠 마신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귀밝이술은 한자어로 이명주(耳明酒), 명이주(明耳酒), 유롱주(牖聾酒), 치롱주(治聾酒), 이총주(耳聰酒) 등으로 부른다.

<동국세시기>에는 “청주 한 잔을 데우지 않고 마시면 귀가 밝아지는데, 이것을 유롱주라 한다”고 나와 있다. <열양세시기>에는 “이날 새벽에 술 한 잔을 마시는 것을 명이주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해록고사>에는 “사일에 치롱주를 마신다고 했으나 지금 풍속에서는 상원날로 옮겨졌다”고 나와 있고, <세시풍요>에서는 “정월 보름날 일찍 마시는 술을 편총주라고 한다”는 문구가 실려 있다. 현종 때 정학유가 지은 <농가월령가>에는 “귀밝히는 약술이며 부름 삭는 생율이다”는 구절이 나온다.

한편, 귀밝이술이 중국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중국 송나라 섭정규의 <해록쇄사>에서는 “사일에 치롱주를 마신다”는 문구가 있다. ‘사일’은 춘분과 추분에서 가장 가까운 앞뒤의 무일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춘사’를 뜻한다고 해석했다. 뒤의 풍속에 이를 보름달에 행사하는 것으로 바뀌게 되었다는 설이다.

저작권자 © 소믈리에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