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 중식대가 정지선 셰프와 고량주 함유 막걸리 ‘고량탁’ 출시

하이볼 중심 믹솔로지 트렌드… CU, 정지선 셰프와 막걸리 ‘고량탁’ 통해 믹솔로지 다변화 (사진=BGF리테일)
하이볼 중심 믹솔로지 트렌드… CU, 정지선 셰프와 막걸리 ‘고량탁’ 통해 믹솔로지 다변화 (사진=BGF리테일)

편의점 주류 시장에서 하이볼을 중심으로 믹솔로지 트렌드가 확산되는 가운데, CU가 중식의 대가(大家) 정지선 셰프와 손잡고 고량주를 섞은 막걸리 ‘고량탁’을 출시하며 믹솔로지 주종 다변화에 나선다.

시장조사 업체 마크로밀 엠브레인 구매빅데이터의 구매 트렌드 분석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1년간 편의점에서 판매된 믹솔로지 주류 구매 추정액은 약 65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2%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CU에서 믹솔로지 대표 주종인 하이볼의 전년 대비 매출신장률은 2023년 553.7%, 2024년 315.2%, 2025년(1~8월) 166.0%로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CU가 지난해 선보인 ‘생과일 하이볼’ 시리즈는 누적 판매량 2천 5백만 캔을 돌파했으며, 최근에는 과일 원물 2종을 넣어 칵테일 스타일로 즐기는 ‘생더블 하이볼’로 콘셉트를 확장하기도 했다.

CU는 하이볼 중심으로 재편된 믹솔로지 트렌드를 ‘고량탁’을 통해 막걸리로 확장하며 신규 수요를 창출한다는 복안이다. 특히, 중식대가 정지선 셰프와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상품 신뢰도를 높이는 동시에 셀럽 주류 마케팅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정지선 셰프는 인기 요리 경연 프로그램에서 그 실력을 인정받으며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한 중식당 ‘티엔미미’의 오너 셰프다. 중식에 자주 곁들여지는 고량주에 조예가 깊은 애호가로도 알려져 있다.

오는 24일 출시되는 ‘고량탁’(5,900원/ALC. 7%)은 막걸리에 고량주를 더해 고량주의 은은한 향과 쌀 본연의 풍미가 어우러지는 것이 특징이다. 정지선 셰프가 개발 과정 에서 여러 번의 시음과 레시피 조율을 거듭하며 완성했다. 특유의 깔끔하고 정갈한 맛으로 중식은 물론 한식, 보양식 등 다양한 메뉴와 폭넓게 페어링할 수 있다.

BGF리테일 주류팀 김홍승 MD는 “하이볼을 시작으로 확산된 믹솔로지 트렌드를 막걸리로 확장해 맛과 스토리를 동시에 갖춘 주류를 선보이고자 했다”라며, “앞으로도 CU는 이전에 없던 차별화된 상품을 통해 편의점 주류 시장의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와일드 터키, 명품 시리즈 '마스터스 킵 비콘' 최종판 출시

Wild Turkey Announces Master’s Keep Beacon, the Final Release in the Celebrated Series (사진=Wild Turkey)
Wild Turkey Announces Master’s Keep Beacon, the Final Release in the Celebrated Series (사진=Wild Turkey)

대담한 켄터키 버번으로 명성을 쌓아온 수상 경력의 증류소 와일드 터키 디스틸링 컴퍼니(Wild Turkey Distilling Company)가 전설적인 ‘마스터스 킵(Master’s Keep)’ 컬렉션의 마지막 작품인 ‘마스터스 킵 비콘(Master’s Keep Beacon)’을 23일 전 세계 시장에 선보인다. 10년간 이어온 혁신적 여정을 마무리하는 이번 한정판은 증류소의 깊은 전통을 기리면서도 미래를 향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상징적 작품으로 평가된다.

마스터 증류사 에디 러셀(Eddie Russell)과 어소시에이트 마스터 블렌더 브루스 러셀(Bruce Russell)이 공동으로 만든 이번 제품은 알코올 도수 59%(118 프루프)로, 두 가지 개성 있는 버번을 블렌딩했다. 16년산 원주는 2007~2008년 사이 증류돼, 2011년 증류소 확장 이전의 원조 와일드 터키 증류소에서 보관된 마지막 배럴에서 엄선됐으며, 10년산 원주는 2015년 증류된 것으로 브루스가 가업에 합류해 아버지와 할아버지 지미 러셀(Jimmy Russell)과 함께 처음으로 만들어낸 버번 중 하나다. 서로 다른 세대의 풍미를 결합해 마스터스 킵 시리즈 사상 가장 높은 도수를 자랑하는 작품이 탄생했다.

2015년 에디 러셀의 아이디어로 시작된 마스터스 킵 컬렉션은 와일드 터키의 대표 라인업을 넘어 새로운 버번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기획됐다. 지난 10년간 매 출시마다 독창적인 시도로 업계와 애호가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세계 주요 주류 매체와 평론가들로부터 꾸준히 최고 점수를 받으며 ‘올해의 위스키’에 선정돼 왔다. 이번 ‘비콘’은 에디와 브루스 러셀 부자가 수십 년간 쌓아온 위스키 제조 노하우를 총집약한 걸작으로, 시리즈의 유산을 기념하는 동시에 새로운 이정표로 자리할 전망이다.

이 컬렉션은 지금까지 총 10종의 한정판으로 선보여졌다. 2015년 ‘17 Year’를 시작으로, Decades(2016), Revival(2018), Cornerstone(2019), Bottled in Bond(2020), One(2021), Unforgotten(2022), Voyage(2023), Triumph(2024)에 이어 이번 ‘Beacon’으로 마침표를 찍는다.

에디 러셀은 “10년 전 마스터스 킵 시리즈를 시작할 때 특별한 무언가를 만들었다는 확신은 있었지만, 이 여정이 어디로 향할지는 상상하지 못했다”며 “지금까지의 결과물에 큰 자부심을 느끼며 앞으로의 여정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브루스 러셀 역시 “이번 최종 출시작은 저에게 각별하다. 병에 제 서명이 새겨진 첫 번째 마스터스 킵이자, 증류소 초창기에 제가 직접 관여했던 원주로 만든 버번이기 때문”이라며 “가업의 전통과 제 여정의 의미 있는 장을 함께 담아낼 수 있어 자랑스럽다”고 전했다.

‘마스터스 킵 비콘’은 짙은 과일과 체리 향을 시작으로 꿀, 바닐라, 콜라의 풍미가 이어지고, 캐러멜화된 설탕과 토피, 홍차의 달콤한 뉘앙스에 따뜻한 베이킹 스파이스가 어우러진다. 성숙한 오크와 가죽 향이 긴 여운을 남기며 마무리된다.

이번 제품은 전 세계 소매점에서 한정 수량으로 출시되며, 권장 소비자가격은 300달러다.


국순당, 추석 맞아 다양한 ‘백세주 선물세트’ 등 출시

백세주 선물세트, 백세주와 함께 도자기 잔 및 온더락 잔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 (사진=국순당)
백세주 선물세트, 백세주와 함께 도자기 잔 및 온더락 잔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 (사진=국순당)

국순당은 추석을 맞아 우리나라 대표 약주인 백세주를 다양한 음용 상황에 맞게 도자기 잔, 온더락 잔, 유리 잔 등 전용잔과 함께 구성한 다채로운 ‘백세주 선물세트’를 선보인다. 이외에도 10년 숙성 증류소주 '려 2013 本’ 세트, 사라진 우리술을 복원한 ‘법고창신 세트’, 차례상에 꼭 필요한 차례주 예담 등 ‘국순당 선물세트’를 출시한다.

백세주는 30년 넘게 사랑받는 우리나라 대표 전통주이며, 정부에서 선정하는 ‘우수문화상품’에 주류업계 최초로 지정된 술로 민속 명절인 추석 선물로 적당하다.

'백세주 VIP 선물세트’는 백세주와 국순당이 테이블웨어 브랜드 소일베이커와 협력해 개발한 고급 도자기 전용잔으로 구성됐다. 백세주의 전통과 가치를 모던하면서도 한국적인 멋을 담아 표현한 품격 있는 전용잔과 함께 구성돼 VIP 선물에 어울린다.

‘백세주 온더락 잔 선물세트’는 백세주 고유의 병 모양과 특유의 질감을 구현한 백세주의 헤리티지를 담은 온더락 잔이 들어 있다. 백세주는 차가운 온도에서 마실 때 과실향이 더욱 풍부해지고 부드럽고 산뜻한 음용감을 느낄 수 있어 온더락으로 음용 시 백세주의 색다른 맛을 즐길 수 있다. 대형마트 및 주류 플랫폼에서 만날 수 있다.

‘백세주 도자기 잔 선물세트’는 하얀 도자기 잔에 블랙계열의 수묵화 기법의 ‘百’을 인쇄해 품격을 갖춘 도자기잔이 들어있다. 이외에도 전용 유리잔과 함께 구성한 ‘백세주 선물세트’도 준비했다.

‘국순당 법고창신 선물세트’는 국순당이 복원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우리 조상들이 즐기던 술로 구성했다. 품격 있는 명절 선물에 걸맞은 희소성과 제품별 스토리까지 담고 있다. 조선시대 선비들이 각별히 즐기던 송절주, 고려시대부터 즐기던 명주인 자주, 고려시대 왕족이 즐기던 떠먹는 최고급 막걸리 이화주, 조선시대 명주인 사시통음주, 술의 빛깔이 맑고 깨끗한 조선시대 명주인 청감주 등이 각각 어울리는 도자기 잔과 함께 구성됐다.

한정 수량을 출시하는 10년 숙성 증류소주인 '려 2013 本’ 세트도 있다. 2013년에 증류한 원액을 10년 동안 장기 숙성했다. 지난해 출시 이후 한 달여 만에 완판된 후 소비자의 재출시 요구에 맞춰 숙성 중인 원액의 양을 고려해 한정된 수량을 추가로 선보인다. 한국 전통 자개 공예인 나전칠기를 모티브로 검은 말을 자개 문양으로 섬세하게 표현한 디자인은 고급스러움과 전통미가 물씬 풍겨 명절 선물용으로 어울린다.

최고급 증류주인 '백세고百歲膏‘도 추석을 맞아 일정 수량 선보인다. 옛 문헌에 소개된 향미가 향상된 좋은 술을 만드는 제법으로 빚은 쌀증류소주원액과 5년 숙성한 백세주술지게미증류원액을 그대로 브랜딩했다. 자연 속 공간의 틈에서 발견한 희망을 오방색으로 표현한 '작품'을 구현한 도자기 용기에 담아 예술적 가치까지 갖췄다. 국순당 50주년과 백세주 30주년을 기념해 한정 수량 생산 후 명절에 맞춰 일정 수량씩만 판매중이다.

차례주 ‘예담’은 명절 차례상에 꼭 필요한 실속 있는 선물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차례 전용주로 개발된 술로 주정을 섞어 빚는 일본식 청주와는 달리 국내산 쌀로 전통 예법에 맞게 빚은 순수 발효 약주이다. 차례 음식과도 잘 어울려 차례 후 조상님께 감사하고 후손의 복을 비는 음복례에도 적당하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자 국가무형유산인 ‘종묘대제’에서 제향 의식의 종헌례 제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역대 조선 왕과 왕비에게 제사를 지내는 조선왕릉 제향 의식에도 제주로 사용되고 있다.

저작권자 © 소믈리에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