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한 해 동안 소주, 맥주 반출량 및 수입량은 소주 22.9억병(360ml 기준), 맥주 35.9억병(500ml)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국내거주 외국인 포함) 1인당 평균 소주 52.9병, 맥주 82.8병을 마신 셈이다.
반출량은 국내 제조장에서 출고된 양으로 재고 회전이 빠른 주류 특성상 소비량과 유사하다.
20일,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주류품목별 반출량 및 수입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작년 한 해 국내 제조장에서 반출된 소주량은 82만 5,848kl, 맥주는 수입분 25만 5,264kl를 포함해 179만 4,232kl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주류품목별 반출량 및 수입량 추이를 살펴보면 소주(희석식소주)의 경우 2017년 94만 5,860kl에서 2021년 82만 5,848kl로 12.7% 감소했다. 맥주의 경우 국내분과 수입분 모두 합쳐 2017년 215만 3052kl에서 2021년 179만 4,232kl로 16.7% 감소했다.
막걸리가 주요품목인 탁주의 반출량 역시 감소했다. 2017년 40만 9,407kl에서 2021년 36만 3,132kl로 줄어들었다.
국군에 납품하는 군납면세 주류도 감소했다. 국납주류에 대한 주세 면제 금액은 2017년 313억 원에서 작년 202억 원으로 줄었다.
일부 주류 수입량 역시 줄어들었다. 위스키는 2017년 1만 5,227kl에서 2021년 1만 1,585kl로 23.9%, 발효나 증류시킨 주정에 향료 성분을 배합한 혼성주인 리큐르는 2017년 6,089kl에서 2021년 4,650kl로 23.6% 감소했다. 특히 일본식 사케가 품목인 청주는 6,525kl에서 3,113kl로 절반 이상 급감했다.
반면 일부 수입주류 중 늘어난 품목이 있다. 와인 수입량은 2017년 3만 6,517kl에서 2021년 7만 6,881kl로 110.5% 증가해 두 배 이상 늘었다. 칵테일에 많이 쓰이는 베르무트는 2017년 1,386kl에서 2021년 1,849kl로 33.4%, 보드카는 1,921kl에서 2,149kl로 11.9% 증가했다.
이에 김 의원은 “코로나 이전부터 주요 주류 반출 및 수입량이 전반적으로 줄어드는 추세”라고 말하며 “회식 또는 모임 문화, 주류 소비패턴이 바뀌면서 나타나는 현상인 듯하다”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투벅척 와인’ 창시자 프레드 프란치아, 79세 나이로 사망
- 부르고뉴 와인 명가 루이 라투르의 수장 '루이 파브리스 라투르', 58세 나이로 사망
- 19 크라임스(19 Crimes), 래퍼 스눕독과 함께 첫 ‘스파클링 와인’ 출시
- 와인픽스, 가을맞이 슈퍼콘과 협업해 15% 할인권 판매
- "재즈, 한우 그리고 와인" 제10회 영천와인축제, 10월 1일부터 2일까지 개최
- 공식적으로 인정 받은 프랑스 지공다스의 '화이트 와인'
- 더쎄를라잇브루잉, 명동 지역 상생 축제 ‘2022 명동우주맥주페스티벌’ 개최
-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와인 박물관’, 중국 베이징에서 오픈 예정
- "청라호수공원에서 즐기는 축제" 청라 뮤직 & 와인 페스티벌, 24~25일 양일간 개최
- 지평주조, 프랑스 르몽드 만평작가 ‘장 플랑튀르’ 초청 문화 행사 개최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위스키’, 약 4억 7000만원에 낙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