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tel Giocondo Brunello di Montalcino, Toscana
Castel Giocondo Brunello di Montalcino, Toscana

Castel Giocondo는 토스카나의 맹주 Frescobaldi 패밀리 소유의 와이너리로, Brunello di Montalcino 와인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Castel(까스텔)은 샤토, 또는 케슬(Castle)을 뜻하고, 지오콘도(Giocondo)는 ‘기분 좋은, 매력적인, 마음에 드는’ 이란 의미를 가진 라틴어 조쿤두스(Jocundus) 에서 유래한 이태리어다.

다빈치의 대표작 ‘모나리자’ (Monna Lisa)의 원 제목이 ‘La Gioconda’ (보면 기분 좋아지는 여인, 매력적인 여인) 이었는데, 사실 이 그림은 보기만 해도 기분이 묘하게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후에 그림 속 모델의 이름이 거론되면서 리사 부인 (Monna Lisa) 또는 ‘Lisa del Giocondo’ 라는 별칭이 생겨나게 된 것이다.

까스텔 지오콘도(Castel Giocondo)는 몬탈치노 마을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지어진 건물로 1100년경 탈라마네 항구에서 시에나로 가는 길목에 있으며, 19세기 초부터 이 지역에서 와인을 생산한 최초의 포도원 중 하나였는데, 포도밭은 배수가 잘되는 토양으로, 햇볕이 잘 드는 남서쪽 해발 400미터 정도의 경사면에 있다.

지오콘도의 와인 포트폴리오에는 일반 BDM급과 같이 오크통에서 약 2년을 보내는 Ripe al Convento 단일 포도원 리제르바급 Brunello가 있으며, Rosso di Montalcino, 그리고 Merlot으로 만든 Toscana IGT인 Lamaione cuvee가 있다. 와인은 Slavonian 대형 Vat과 프랑스산 소형 바리크를 병행해서 쓰고 있다.

Brunello Castel Giocondo 2016빈은 매우 좋은 빈티지 중 하나로, 제임스 서클링 95점을 받았다. 색상은 가장자리에 가닛 뉘앙스를 가진 맑은 루비 레드 색상을 보였고, 레드 체리, 라즈베리, 블루베리, 바이올렛, 가죽향에 이어 후추, 계피, 정향의 스파이시한 힌트를 보여주었고, 발사믹 노트로 마무리되는 우아한 풍미가 매력적이었다.

조밀한 텍스처의 타닌과 미네랄리티, 완벽한 벨런스, 길게 이어지는 피니쉬가 좋은 인상을 남긴 와인이었다.

포도원은 해발 250~450m에 자리잡고 있으며, 남향, 남서향으로 노출되어 있다. 평균 수령이 20년인 포도나무들은 핵타르당 3천그루(오래된 밭)~5,500그루(최근 식재된 밭) 정도의 재식 밀도를 보인다.

토양은 주로 점토, 석회암 및 사암이 포함된 포도밭으로, 추수 후 압착은 수평 프레스를 사용하여 부드럽게 압착한 다음 섭씨 30도 이하의 온도에서 12일간 스테인리스 스틸 Vat에서 발효된다. Skin contact은 약 3주 동안 지속되며 색상과 타닌을 추출하며 Malolactic 발효는 알코올 발효에 이어서 자연적으로 진행된다.

숙성 기간은 36개월 정도인데, 와인 일부는 소형 바리크에서 숙성되고 나머지는 80~100헥토리터 용량의 슬라보니아 오크 통에서 숙성되어 최종 블랜딩되며 병입 후 4개월간의 안정기를 거쳐 출하된다.

Frescobaldi는 토스카나에 9개의 사유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여기서 프리미엄 D.O.C. 및 D.O.C.G. 와인을 생산하는데, 그 중에서도 Remole, Castiglioni, Corte, Santa Maria 와 Castelli di Pomino, Nipozzano, 그리고 Castel Giocondo에서는 최고 수준의 와인을 만든다.

Pomino D.O.C.에 위치한 Castello di Pomino는 피렌체 북동쪽으로 40km 떨어진 토스카나-에밀리안 아펜니노 산맥의 경사면에 있는데, 부지 면적은 1,458헥타르에 달하며 이중 103핵타르가 포도밭이다.

키안티 루피나 D.O.C.G의 카스텔로 디 니포차노는 피렌체에서 북동쪽으로 30km 떨어진 투스카니의 전형적인 구릉 지역으로 626헥타르의 부지에 212헥타르의 포도밭이 있다.

브루넬로 D.O.C.G와 Rosso di Montalcino D.O.C. 지역을 커버하는 카스텔 지오콘도 와이너리는 시에나 남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총 815헥타르의 부지에 151헥타르의 포도밭을 가지고 있다.


김욱성은 경희대 국제경영학 박사출신으로, 삼성물산과 삼성인력개발원, 호텔신라에서 일하다가 와인의 세계에 빠져들어 프랑스 국제와인기구(OIV)와 Montpellier SupAgro에서 와인경영 석사학위를 받았다. 세계 25개국 400개 와이너리를 방문하였으며, 현재 '김박사의 와인랩' 인기 유튜버로 활동 중이다.

저작권자 © 소믈리에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